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56

<0> 개인회생 제도 설명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개인회생 제도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고자 합니다. 이전 카테고리 설명 포스팅에서 말씀 드렸다 시피 개인회생제도의 단계별로 포스팅을 할 예정입니다. 본격적으로 신청 단계에 대한 설명을 하기에 앞서 이 개인회생 제도가 정확하게 어떤 것인지 부터 먼저 알아보고 가려고 합니다. 먼저 개인회생제도란, 법원에서 운영(?)하는 신용 구제 제도 중에 하나 입니다. (저는 채무조정제도라고 표현을 합니다.) 채무조정제도에는 신용회복위원회에서 주관하는 워크아웃제도가 있고 법원을 통해 신청을 할 수 있는 개인파산제도와 개인회생제도가 있습니다. 내용을 살펴보면 다중 채무로 인하여 더 이상 채무 상환이 어렵다고 판단 되는 채무자에 대하여 채무를 재조정 하여 상환을 가능하게끔 해주는 제도라고 할 수 있.. 2019. 7. 22.
<2> 프라임, 서브프라임? 안녕하세요. 오늘은 2008년 금융위기를 불러왔었던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에 대해 간략히 얘기를 해볼까 합니다. 그러면서 추가로 이 프라임과 서브프라임 등급이 어떤 것인지에 대해서도 알아볼게요! 흔히 2008년 금융위기를 미국발 금융위기라고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 왜 그런지 이유를 살펴보면 미국의 주택담보대출은 신용등급에 따라서 프라임, 알트에이, 서브프라임 등으로 구분이 되는데 물론 프라임이 높은 신용등급이며 아래로 올 수록 낮은 신용등급입니다. 보통 대출의 경우 신용등급에 따라서 금리의 차이가 발생하게 되는 것은 다들 알고 계실 겁니다. 그리고 이러한 주택담보대출의 경우 채무자 (돈을 빌린 사람)이 상환을 못하게 될 경우 담보로 잡았던 집을 경매로 처분하여 대출금을 강제 상환시키는 구조입니다. 여기.. 2019. 7. 21.
<1> 베블런효과, 베블렌효과 안녕하세요. 경제 상식 카테고리에는 많이 통상되어 사용되는 경제 용어들과 그에 따른 간단한 설명을 풀어보는 식으로 작성을 하고자 합니다. 해당 용어나 이론에 대한 상세한 내용과 설명보다는 가능한 빠르게 이해할 수 있도록 작성을 하고자 하오니 각 항목에 대하여 참고를 하실 때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첫번째로 포스팅할 내용은 베블런 / 베블렌 효과 (Veblen effect) 입니다. 베블런효과는 소스타인 베블런 (T. Veblen)의 유한계급론에서 유래되었으며, 지금까지 과시적 소비현상을 설명 할 때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용어이기도 합니다. 간단하게 베블런 효과에 대해 설명을 하자면, 가격이 계속 오르고 있어도 수요가 줄지 않는 현상이라 설명할 수 있습니다. 즉, 부 혹은 자신의 사회적 위치등을 .. 2019. 7. 21.
개인회생제도 카테고리 설명 안녕하세요. 블로그 개설 후 첫 포스팅은 채무조정제도 중 개인회생제도에 대해서 작성을 하고자 합니다. 제가 저축은행과 대부업 회사에서 채무조정제도 관련 업무를 수행 하면서 알게 된 부분을 기준으로 하여 작성을 할 예정입니다. 저는 변호사나 법무사가 아니기에 법률적인 상세내용이나 제도의 구체적인 설명보다는(그런 부분들은 사실 글만으로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부분이 아니기에...) 단계별 해당 제도의 진행 상황과 그 상황에 맞는 대응 방법과 실무 방법등에 대하여 포스팅을 통해 얘기를 해보고자 합니다. 앞으로 이 개인회생제도 카테고리에 대한 포스팅은 아래와 같이 작성을 하고자 합니다. 1. 개인회생 단계별 진행 상황 (신청 - 금지명령 - 개시결정 - 인가결정 - 면책결정) - 그 사이사이 기각, 폐지 혹은 면.. 2019. 7. 20.